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본주의적 이론

psychology

by mindmove 2020. 3. 9. 13:38

본문

 

 

인본주의적 이론

 

1. 인본주의적 이론의 정의
2. 로저스와 메슬로우의 생애
3. 인간관
4. 기본 가정
5. 주요개념
5-1. 현상학적 장
5-2. 자아
5-3. 자아실현 경향
5-4. 메슬로우 욕구 계층 이론
6. 성격 발달에 대한 관점
7.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적용

 

1. 인본주의적 이론의 정의

•인본주의 심리학이란 용어는 1960년도에 당시 심리학 중 가장 영향력이 있는 두 조류(潮流), 즉 정신분석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에 대항하여 활력있는 이론적 대안을 세우고자 아브라함 메슬로우(Abraham Maslow)를 중심으로 결속된 심리학자들에 의해 탄생.

•실존주의이론, 형태치료와 같이 실존주의 철학에 그 기원을 두고 있으며,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음.

※인본주의이론 특징

•자아실현과 같은 인간의 긍정적 측면에 초점을 둔다.

•낙관적 입장에서 인간의 본성을 파악한다.

•기계론적 입장을 거부한다.

•개인의 현재 경험을 중시한다.

•인본주의이론의 발달에 크게 기여한 인물들로는 칼. 로저스(Carl R. Rogers)와 아브라함 메슬로우(Abraham Maslow) 가 있음.

 

2. 로저스와 메슬로우의 생애

(1). 로저스의 생애(1902~1987): 미국 태생
‣Carl R. Rogers는 시카고 Oak Park에서 1902년 1월8일 출생했으며, 아버지는 토건업자이며, 도시공학자 부모 모두 독실한 종교인이고 어머니는 엄격한 근본주의자로 자처하였고 가족은 화목하였다. 12살 때의 학교 성적은 좋았으며 1919년 시카고 대학에 입학 1924년 역사 학위 그해 결혼하여 1남1녀 그 후 유니온 신학교 입학 콜롬비아 대학으로 전학하여 임상심리학, 교육심리학 전공 1931년 철학박사학위 1928년 박사학위를 받기 전 그는 법원과 아동연구성(Child study Department)으로부터 위촉받은 비행아동과 결손 아동을 상대로 뉴욕로체스터에서 일했다.

1939-1940 로체스터 가이던스 소장 1940년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교수 1945-57 시카고 대학의 카운슬링센타에서 봉직 그 후 위스콘신학대학 교수 1964 전문위원의 자격으로 서구행동과학 연구소(Western Behavioral Sciences Institute)에서 1968년 이래 캘리포니아 로욜라에 있는 인간 연구소(Center for Studies of the Person)에서 상임연구원으로 종사하였다.

저서로는 「카운슬링과 심리치료(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42)」, 「내담자중심치료(Client-centered Therapy, 1951)」,「인간적성장(On Becoming a Person, 1961)」,「학습의자유(Freedom to Learn,1969)」,「칼 로져스와 인카운터집단(Carl Rogers on Encounter Group, 1970)」, 「완전한동반자 : 결혼과 그 대안들 (Becoming Partners: Marriage and Its Alternatives, 1972)」, 「존재방식(A Way of Being,1980)」등이 있음.

 

(2). 메슬로우의 생애(1908~1970): 미국 뉴욕 태생.

‣그의 부모는 러시아에서 이민해 온 유태인이었다. 그는 동네에서 유일한 유태인이었으며, 따라서 어린 시절의 대부분은 혼자서 책과 씨름하며 도서관에서 보냈다. 그는 1930년 심리학 학사학위를, 1931 년과 1934년에 위스콘신대학에서 심리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컬럼비아대학,브루클린대학,브랜다이스대학을 거쳐 1969년 캘리포니아 주 멘로 파크에 있는 르린재단의 상임 특별연구원으로 근무 후 1970년 6월 8일 사망하였다. 그의 저서로는 「존재의 심리학으로(1962)」, 「종교, 가치, 그리고 절정체험(1964)」, 「동기와 성 격(1970)」등이 있다.


3. 인간관

(1)미래지향적 존재

•경험 실현화를 위한 유기체의 노력 성장과 자유에 대한 잠재력을 강조하는 것이었으며 인간 존재 가치는 고유한 주체성과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의 특성에 주목한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자유로우며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고, 유목적적이며, 합리적이고 건설적인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해나간다

(2)통합적 존재

•전체성과 통합성을 향하여 발전해 가는 존재로 보고 있다.

(3)합리적 존재

•반사회적 행동을 진정한 인간의 내적 본성과 화합하지 못한 결과이다.

•자아실현의 경향이 강해지고 인간이 더욱 자유로워질 때 강하게 표출된다.

(4)자유로운 존재

•자신의 인생 목표와 행동방향을 스스로 결정하고 이러한 결정에 따르는 책임을 수용한다.

 

4. 기본가정

rogers1)

(1)주관적 경험론

․모든 인간행동은 개인이 세계를 지각하고 해석한 결과다.

․개인의 내적 준거체계에 대한 이해 필요-인간은 본질적으로 인간 자신의 개인적 주관적 세계에서 살아가며 과학이나 수학 같은 가장 객관적인 기능조차 주관적인 목적과 선택의 결과이다(rogers 1959)

(2)인간행동의 미래지향성

인간은 고통을 감소시켜 내적 평형상태에 안주하려는 욕구보다는 내적 긴장이 다소 높아지더라도 성장과 발달을 추구하려는 욕구가 더 강하다.

(3)자아실현 경향

․모든 유기체가 자기 자신을 보존하고 실현하며 고양시키려는 하나의 기본적 경향과 노력을 지니고 있으며 유기체는 유전에 의해 규정된 방향에 따라 스스로 실현하며 그러한 실현적 경향은 장시간에 걸쳐서 더 성숙하고 확장되며 자율적이 된다는 것을 의미 한다.

․모든 인간이 자신의 내부에 자기이해, 자기개념과 기본적 태도의 변화 및 자기 지향적 행동을 위한 거대한 자원을 갖고 있다

․각 개인이 지니고 있는 모든 능력을 유지하고 실현하고자 하는 힘이며 자신의 독특한 심리적 특성과 잠재력을 개발하여 자기 자신이 되는 과정이다

․자기충족, 성숙의 방향을 지향하는 모든 동기를 포함하는 각 개인의 진보적인 추진력이라고 규정하였다

․자기실현의 과정은 자신을 창조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모든 인간은 삶의 의미를 찾고 주관적인 자유를 실천해감으로써 점진적으로 완성되어간다고 보았다.

-진정한 관심, 수용 그리고 감정이입적 이해 등을 포함한 원조자의 긍정적 태도는 효과적 원조관계의 필수적 조건이다.

-치료자는 권위적 인문이 아니다. 치료자는 존경과 긍정적 관심을 통하여 내담자의 긍정적 성장을 고양하여야 할 사람이다.

-내담자는 자아인식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더욱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모든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내담자는 부적응적 상태에서 심리적으로 건강한 상태로 옮겨 갈 수 있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5. 주요개념

5-1.현상학적 장

현상학적 장이란 경험적 세계 또는 주관적 경험으로도 불리는 개념으로 특정 순간에 개인이 지각하고 경험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로저스는 동일한 현상이라도 개인에 따라 다르게 지각하고 경험하기 때문에 이 세상에는 개인적 현실, 즉 현상학적 장만이 존재한다고 보고 있다.

특히 프로이드가 과거 경험이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이라고 본 점에 대항하여, 로저스는 현재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과거 그 자체가 아니라 과거에 대한 각 개인의 현재의 해석이라고 할 정도로 현재의 현상학적 장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현상학적 장에는 개인이 의식적으로 지각한 것과 지각하지 못하는 것까지도 포함되지만, 개인은 객관적 현실이 아닌 자신의 현상학적 장에 입각하여 재구성된 현실에 반응한다.

따라서 동일한 사건을 경험한 두 사람도 각기 다르게 행동할 수 있고, 이러한 속성 때문에 모든 개인은 서로 다른 독특한 특성을 보이는 것이다.

그리고 로저스는 인간이 자극에 단순히 반응하는 존재가 아니라 전체적으로 조직화된 체계로 보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학적 장, 즉 현실에 대한 지각도표에 따라 행동하고 생활할 때, 모든 개인은 조직화된 전체로서 반응한다고 보고 있다.

이와 같이 로저스는 인간행동에 대한 현상학적 관점을 강하게 주장함과 아울러 전체론적인 관점을 고수하고 있다.

5-2. 자아

자아는 자신에 대해 갖고 있는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인식을 말한다. 이것은 로저스의 인본주의 이론의 가장 중요한 구성개념이다. 자아개념은 현재 자신이 어떤 존재인가에 대한 개인의 개념으로, 자기 자신에 대한 자아상(self image) 이다.

로저스는 자기 개념은 현재 자신의 모습에 대한 인식, 즉 현실자아(real self)와 앞으로 자신이 어떤 존재가 되어야 하며, 어떤 존재가 되기를 원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 즉 이상적 자아 (ideal self)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로저스는 현재 경험이 이러한 자아구조와 불일치할 때 개인은 불안을 경험한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으로부터 존경받고 성공한 인물로 간주되는 사람들 중에서 자기 자신을 보잘것없는 실패자라고 지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로저스는 자아구조와 주관적 경험 사이의 일치가 매우 중요하며, 이 양자가 일치될 경우에는 적응적이고 건강한 성격을 갖게 되는 반면 이들 간의 불일치가 심할 경우에는 부적응적이고 병적인 성격을 갖게 된다고 보았다.

자아는 우리에게 우리가 아는 범위 내에서 삶에 대해 나름대로 특정한 방식으로 반응하는 것을 허용한다. 자아의 발달은 자신이 세상에서 경험하는 것은 어떻게 지각하는 가를 바탕으로 하여 변화하는 역동적인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로저스는 이러한 자기가 사용하는 기본적 방어기제로서 왜곡과 부인을 제시하고 있다. 경험의 왜곡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경험을 자신의 현재 자기상과 일치하는 형태로 변형하여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진급하는 사람을 보고 사장이 진급하게 해 주었다고 왜곡시킴으로써 자신의 현재의 자아상을 유지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 다른 방어기제인 부인은 위험한 경험이 의식화되는 것을 회피함으로써 자기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부당한 대우를 받은 여사원이 화를 내지 못하는 것은 화를 내면 사랑받지 못한다는 부모님의 믿음이 내재되었기 때문이다.

이 방어기제는 자아개념과 불일치하는 경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완전히 무시해버린다. 경험과 자기의 인식사이에 부조화를 감소시키려는 방어를 발동하게 하여 걱정이 줄어드는 것이다.

5-3. 자아실현경향(self actualization)

로저스(1951)는 인간에게는 많은 욕구와 동기가 있지만 그것들은 단지 하나의 기본적 욕구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로저스는 모든 인간은 성장과 자기증진을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며, 그 노력의 와중에서 직면하게 되는 고통이나 성장방해요인에 직면하여 극복할 수 있는 성장 지향적 유기체라고 보고 있다. 특히 이러한 자기실현 동기는 성장과 퇴행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면 더욱 강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현실지각이 왜곡되어 있거나 자아분화의 수준이 낮은 개인의 경우에는 퇴행적 동기가 더 강하게 작용하여 유아적 수준의 행동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로저스는 모든 인간이 퇴행적 동기를 지니고 있긴 하지만 그보다는 성장 지향적 동기, 즉 자기실현욕구가 기본적인 행동동기라고 보았다.

그리고 자기실현의 과정은 자신을 창조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모든 인간은 삶의 의미를 찾고 주관적인 자유를 실천해감으로써 점진적으로 완성되어간다고 보았다.

5-4. Maslow의 욕구계층이론

욕구란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이며, 이를 충족시킴으로써 만족을 얻는 일종의 본능과 같은 것이다. 메슬로우에 따르면 인간의 욕구를 생리적 욕구, 안전에 대한 욕구, 애정적 욕구, 자존에 대한 욕구, 그리고 자아실현의 욕구로 구분한다. 하위 욕구가 충족되면 다음 단계의 욕구에 의해 동기유발이 되며 상위욕구가 강하게 일어나려면 하위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어야 한다. 그리고 극히 일부의 사람만이 자아실현의 욕구단계까지 도달하게 된다.

1단계 : 생리적 욕구 - 의식주에 대한 욕구, 성적욕구, 수면욕구등 생리적 균형을 유지하는데 요구되는 기본적 욕구이며 생명을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욕구이다.

2단계 : 안전에 대한 욕구 - 자기 자신을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자 하는 욕구 육체적 안전과 심리적 안정에 대한 욕구이다.

3단계 : 애정과 소속의 욕구 - 다른 사람으로부터 사랑을 받고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자하며 어떤 집단에 소속하여 집단의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것이며 대인관계를 통해 서로 정을 교환하고 소속되기를 바라는 사회적 욕구이다.

4단계 : 자기 존중의 욕구 - 어떤 중요한 책임을 맡아 이를 잘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인정하고자하며 다른 사람으로부터도 존경을 받고자 원하는 것. 열심히 노력하여 많은 재산을 축적한 사람이 어느 시기에 가서 자신의 전재산을 사회 단체나 교육 기관에 기꺼이 내어 놓는 일은 바로 이러한 욕구에서 나온 행동이다. 자존심을 유지하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과 존경을 받고 싶어 하는 욕구이다.

5단계 : 자아실현의 욕구 - 자신의 모든 잠재적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가치 있는 삶을 누리고자 하는 욕구. 이를 위해서는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그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심미적 욕구가 충족되어야 하며, 또, 이 우주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워서 알고자 하는 지식과 이해의 욕구도 동시에 충족되어야 한다.

Maslow는 이들 다섯 가지 욕구들이 유기적 연관성을 맺으면서 욕구발로의 우선순위에 따라 계층을 이루고 있다고 본다. 일단 하급의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면, 충족된 욕구의 동기유발력은 현저히 약화되거나 잠재화되고, 차상급의 욕구가 지배적인 동기요인으로 부각된다.

말하자면, 가장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면, 안전에 대한 욕구가 발로된다. 다시 안전에 대한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면, 애정적 욕구가 유발된다. 그 다음 애정적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면, 자존에 대한 욕구가 부각된다. 마지막으로 자존에 대한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면, 최정상의 자아실현욕구가 발현된다.

욕구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 이러한 기본적 논리는 실제생활에서 일어나는 복잡다기한 욕구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다소 보완되어야 한다. 이를 테면, 욕구계층의 고정성에 대한 예외, 욕구충족의 상대성, 그리고 동기유발의 복합성 등에 대한 보완적 설명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욕구계층에 따라 하급욕구로부터 고급욕구로 이행하면서 순차적으로 욕구가 발로되지만 예외도 있다. 예컨대, 선천적으로나 의도적으로 애정적 욕구를 중시하는 사람에게는 애정적 욕구가 자존에 대한 욕구보다 상위의 욕구로 나타날 수 있다.

또 사랑을 받지 못한 어린 시절의 경험 때문에 병적 성격을 지닌 사람은 애정적 욕구를 거의 상실할 수 있다.

정상적인 사람의 경우에 다섯 가지 욕구들이 모두 부분적으로 충족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상위욕구 계층으로 올라갈수록 욕구충족의 수준이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생리적 욕구는 85%, 안전에 대한 욕구는 70%, 애정적 욕구는 50%, 자존에 대한 욕구는 40%, 그리고 자아실현욕구는 10%가 충족되어 있는 사람을 볼 수 있다.

또, 하위욕구의 충족에 의하여 상위욕구가 발로되는 방식은 점진적이다. 예컨대, 안전에 대한 욕구가 10%밖에 충족되어 있지 않으면, 애정적 욕구는 거의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안전의 욕구가 25%충족되면, 애정적 욕구는 5%쯤 나타날 것이다.

더 나아가 안전의 욕구가 75%충족되면, 애정적 욕구는 50%로 나타날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구들은 서로 배타적인 행동결정요인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으로 복합 작용하여 행동을 결정한다. 예컨대, 열심히 일하는 것은 경제적 보상을 얻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고 자존심을 지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Maslow는 위와 같은 주장을 함에 있어 한 가지 오류를 범한 것이 있다.

Maslow의 견해는 고전적, 신고적 조직이론에 대항하는 반명제도로서 현대적 조직이론의 인간주의적 경향을 주도해왔다. 그러나 그의 욕구계층이론에 대한 경험적 지지가 약하며, 인간본성의 성선성에 대한 그의 철저한 생물학적 해석은 조직현실에서 개인의 잠재력이 악으로 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오직 조직여건의 탓으로 돌려버림으로써 개인의 자유의지와 도덕적 책임을 부정하고 있다는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러나 Maslow가 인간을 중심으로 학문을 행했다는 점에 있어서는 높이 평가한다.

※. 자기 실현자들의 특징들

1)현실 중심적이다 (reality-centered)

거짓, 가짜, 사기, 허위, 부정직 등을 진실로부터 구별하는 능력이 있다.

2)문제 해결 능력이 강하다 (problem-centered)

어려움으로부터 도망가려 하지 않는다. 오히려 어려움과 역경을 문제 해결을 위한 기회로 삼는다.

3)수단과 목적을 구분한다. (discrimination between ends and means)

4)목적으로 수단을 정당화하지 않으며, 수단이 목적 자체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즉, 과정이 결과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는 자세를 갖는다.

5)사생활을 즐긴다. (detachment: need for privacy)

남들과 함께 하는 시간보다는 혼자 있는 시간에 종종 더 편안함을 느낀다.

6)환경과 문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autonomy: independent of culture and environment)

주위 환경에 의해 쉽게 바뀌지 않는다. 자신의 경험과 판단에 더 의존한다.

7)사회적인 압력에 굴하지 않는다. (resistance to enculturation)

항상 사회에 순응하며 살진 않는다. 겉으로는 평범해 보이지만, 속으로는 반사회적이거나 부적응자의 심리를 갖고 있기도 하다.

8)민주적인 가치를 존중한다. (democratic behavior)

인종, 문화, 개인의 다양성에 열린 자세를 취한다.

9)인간적이다 (Gemeinschaftsgefuhl: social interest)

사회적 관심, 동정심, 인간미를 지니고 있다.

10)인간관계를 깊이 한다. (intimate personal relations)

수많은 사람들과 피상적인 관계를 맺기 보다는 가족이나 소수의 친구들과 깊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선호한다.

11)공격적이지 않은 유머를 즐긴다. (sense of humor)

자기 자신을 조롱하는 듯 한 유머를 즐겨 사용한다. 남을 비웃거나 모욕하는 유머는 삼가 한다.

12)자신과 남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acceptance of self and others)

남들이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이나 태도에 연연해하지 않고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바라본다. 남에게도 마찬가지. 남을 가르치거나 바꾸려 하지 않고, 자신에게 해가 되지 않는 한, 있는 그대로 내버려 둔다.

13)자연스러움과 간결함을 좋아한다. (spontaneity and simplicity)

인공적으로 꾸미는 것보다는 있는 그대로,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14)풍부한 감성 (freshness of appreciation)

주위의 사물을, 평범한 것일지라도, 놀라움으로 바라볼 수 있다.

15)창의적이다 (creativeness)

창의적이고 독창적이며 발명가적 기질이 있다.

16)초월적인 것을 경험하려 한다. (peak experience, mystic experience)

(학문, 종교, 철학, 스포츠 등) 경험의 정점에 다다르기를 좋아한다. 경험의 순간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초월적인 기쁨과 자유를 느낀다. 그리고 이 경험이 머릿속에 남아 계속 그 경험을 쌓으려 노력한다.

그리고 메슬로우는 역사적인 위인이라고 해서 위의 특징들을 모두 갖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자기실현이라는 가치 자체가 불완전한 것이기 때문에 자기실현 과정에 몇 가지 결함이 발견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지나친 죄의식이나 염려, 과도한 친절, 잔혹함과 냉정함, 유머 감각의 상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자기실현 과정에 오점을 남기기도 한다는 것이 메슬로우의 지적이었다.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1971)에서는 자기실현(self-actualization)으로 이끄는 행동들을 다음과 같이 나열하고 있다.

①. 자기실현이란 깊은 집중(full concentration)과 전념(total absorption)을 통해 완전하고, 생생하며, 사심없이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②. 人生을 일련의 선택들의 과정이라고 보았을 때, 각 기점에서 성장을 위한 선택(the growth choice)을 하는 것이다.

③. 자기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이다.

④. 정직하고 책임을 지는 것이다.

⑤. 자신의 판단과 직관을 믿는 것이다.

⑥. 자기실현은 목표이기도 하나, 매순간 잠재력을 실현하는 부단한 과정이기도 하다.

⑦. 절정체험(peak experience)은 자기실현의 일시적 순간이다.

⑧. 방어기제를 파악하게 되므로 이를 버릴 용기를 얻게 된다.

6.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

로저스에 의하면, 성격발달은 대체로 자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자아상이 발달한다고 보았다.

1) 긍정적인 존중

긍정적인 존중은 아동에게 있어 절박한 욕구로서, 이것의 만족의 위해서라면 아동은 거의 무엇이라도 희생하려 든다. 여기에 덧붙여 아동은 ‘긍정적인 자기존중’에 대한 욕구도 가지게 되는데, 이것은 남들에게 요구해 오던 것을 자기 자신에게도 요구하게 되는 것이다.

2) 가치의 조건

어린아이들은 자라나면서, 점점 더 다른 사람들로부터 긍정적인 존중을 받고 싶어 한다. 그러나 우리 모두가 곧 알게 되듯이, 긍정적인 존중은 거저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어떤 조건들을 충족시킬 때에만 주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가정에서는 공부를 잘해야만 긍정적인 관심을 받게 되고, 그 외의 스포츠나 음악에 뛰어난 것은 인정해 주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가치의 조건을 충족시켜 줄 때 아동의 자존심이 증대한다.

3)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로저스는 누구나 다 사랑받고 존중되어야 한다고 하면서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을 강조하였다. 즉, 어떤 경우에서든 주어지는 것들이 완전하고, 진실된 사랑과 존경이어야 한다. 만일 어머니가 어린 자녀에게 조건부적인 긍정적 관심을 보인다면, 어머니의 이러한 태도는 아동에게 내면화되어 가치의 조건이 된다. 다시 말해서, 어머니가 보여준 조건부적인 긍정적 관심은 아동에게 내면화되어 규범과 기준이 됨으로써, 그 아이는 완전한 실현을 성취할 수 없고, 자기 소외를 경험하게 된다.

4)일관성과 위협

인간은 현상적 자아와 체험 사이의 일관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자아구조와 일관된 경험들은 지각되어 그 구조의 일부가 된다. 어떤 체험들은 자기와 아무 관계가 없는 것으로 지각되기 때문에 그냥 무시되기도 하지만, 자아개념과 부조화를 이루는 체험은 긴장과 내적 혼란과 같은 반응을 일으키기도 한다. 즉, 자기나 가치의 조건들과 상치하는 체험들은 ‘위협’을 주는데, 이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흔히 이런 체험들을 자기 속에서 받아들이기를 거부하거나, 그 의미를 왜곡시킨다. 가령 자신이 똑똑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심리학 과목에서 받은 D학점을 자기구조 속에 놓지 않으려고 할 수 있다. 그 대신 이 사람은 시험이 불공평했다든가, 강사가 엉망이었다든가 라는 주장을 함으로써, 이 D의 의미를 왜곡시켜 버린다. 이 모든 것은 무의식적 차원에서 일어날 수 있다.


7.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적용

(1). 심리적 건강과 증상에 대한 관점

※Rogers 인간중심치료 (Person-centered Therapy)

- Carl Rogers의 인간중심치료는 인본주의적 접근의 대표적 치료방법이다.

- E. G. Williamson(1939)이 그의 저서인 "How to counsel students(학생상담의 방법)"을

출간하자 Rogers는 Williamson의 이론이 지시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강력히 비판하였다.

-> Williamson의 이론과는 달리 자신의 상담방법은 비지시적이고 내담자 중심으로 이루어진다고 제창함으로써 정립된 이론이다.

- Rogers는 "인간에게는 스스로 자신의 길을 발견하고 성장해 나갈 수 있는 잠재능력이 있다"고 보았다. -> 따라서, 상담자의 역할은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해결 능력을 스스로 되찾고 인간적인 성숙을 기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도와주는 것이다.

 

- Rogers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치료를 받으러 온다고 하였다.

"나는 어떻게 자신의 현실적 자아를 발견할 수 있는가?"

"나는 어떻게 해야 내가 간절히 되고 싶어 하는 존재가 될 수 있는가?"

"나는 어떻게 내면적인 나를 찾아 나 자신이 될 수 있는가?"

-이와 같이 부적응적인 개인은 자아이미지와 현실사이에 괴리가 심하여, 이로 인하여 높은 수준의 불안을 경험하는 존재인 것이다. 이에 반하여 로저스는 적응적 개인은 실제적으로 행동하고, 생각하고, 경험하는 방식에 대해 보다 정확한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고 하였다.

 

(2)치료 목표

- 치료자는 내담자가 a fully functioning person(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되도록 생산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치료의 기본 목표가 된다.

 

(3)치료적 관계와 실무원칙

1)촉진적 치료관계

- 치료자는 상호신뢰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여 내담자가 거리낌 없이 자기 자신을 공개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내면세계(감정, 욕망 및 가치판단 등)를 이해하고, 자신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이러한 관계속에서 내담자는 자신의 환경에 대한 왜곡된 지각을 수정하고, 현실적 경험가 자아개념간의 조화를 이룩하며, 궁극적으로는 자신의 능력과 개성을 최대한 발휘하여 자아실현을 촉진하게 된다.

 

가. 일치성 또는 진실성

•상담자로서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태도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느낀 감정을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상담자가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내담자가 표현하는 부정적 감정을 받아들일 수 있을 때, 내담자와의 솔직한 감정교류가 가능해 진다.

 

나.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과 수용

•내담자를 인격적으로 존중하여 그의 감정, 사고, 행동을 평가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함.

•상담자가 이러한 태도를 마음과 행동으로 보여줄 때, 내담자는 자유롭게 자신의 감정을 경험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다. 감정이입적 이해와 경청

•치료의 순간순간마다 드러나는 내담자의 경험과 감정을 상담자가 심리적으로 내담자의 입장이 되어 이해하려는 태도

•이는 상담자로서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대인관계적 능력이다.

•감정이입은 동정(sympathy)이나 동일시(identification)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라. 촉진적 치료관계의 결과

-로저스는 치료자가 변화를 위한 필요충분조건을 제공하게 되면, 관계에 속해있는 나머지 사람, 즉 내담자는 다음과 같이 변화될 것.

① 이전에 억압했던 측면들을 경험하고 이해할 것이다.

② 더욱 통합되고,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③ 자신이 되고 싶었던 인물에 더욱 가까워질 것이다.

④ 자기 지향적이고 자기 확신을 갖게 될 것이다.

⑤ 더욱 인간적이고, 독특하고, 자기표현적인 사람이 될 것이다.

⑥ 타인을 더 잘 이해하고, 수용할 것이다.

⑦ 생활상의 문제에 보다 적절하고 편안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2)치료자의 역할

- 치료자의 역할은 내담자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구체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데에 있지 않고 치료자의 허용적인 태도 안에서 내담자-치료자 간에 인격 대 인격의 만남(encounter)을 경험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 그러므로 참다운 관계의 체험을 통해서 내담자가 자기탐색과 성장적이고 치료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3)실무원칙

•자신의 신념체계를 검토하라. 각 개인이 가치있는 존재이며 원조관계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치료자가 어떤 태도를 취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라.

•원조관계에서 온화함과 신뢰의 분위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지를 신중하게 생각해 보라.

•치료적 관계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경험과 같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라.

•내담자의 관심사에 대해 정확히 반응함으로써 내담자의 주관적 경험을 존중하라.

•면접상황에서 일어나는 현재 경험에 초점을 두라. 내담자가 자신의 경험을 신뢰하는 것을 학습할 수 있는 과정을 개발하라.

•진실성, 감정이입, 그리고 일치성을 표현할 수 있는 면접기법을 활용하라.

•긍정적 자기평가를 방해하는 내담자의 생활경험을 수용하고 해석하라.

•원조관계를 성장을 촉진하고 자기평가를 증진시킬 수 있는 기회라고 보라.

(4)치료적 기법

인본주의적 접근방법에서는 기법의 사용을 최대한 억제하며, 치료자의 인간성, 신념, 태도 그리고 치료적 관계가 치료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으로 봄. 인본주의적 접근방법에서의 치료기법은 수용, 존경, 이해를 표현하고 전달하며, 생각하고 느끼고 탐색함에 의해 내담자가 내적 준거틀을 발전시키도록 원조하는 것이다.

 

(5)평가

1) 공헌점

① 상담에서의 내담자와의 관계형성을 중요시하였다. -> 인간중심치료에서 강조한 상담자의 태도와 자질은 다른 모든 학파의 치료에서도 공통적으로 치료자로서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태도와 철학으로 부각되고 있다.

②상담과정에서 진단을 배제하고 '여기-지금(here-and-now) 행동을 중요시하였다.

③ 인간행동에 있어서 정서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④내담자가 지켜야 할 책임, 시간, 애정, 공격행동에 있어서의 한계점을 명확히 하였다.

 

2) 비판점

① 객관적 정보의 사용을 통해서 내담자를 도와주는 면이 너무 부족하다.

② 이 이론은 모든 내담자에게 광범위하고 일반적이며 동시에 동일한 상담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③ 상담의 목표가 내담자 자신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지만 실제로 상담목표는 치료자와 내담자가 함께 있는 기간이나 사태에 따라서 결정된다.

④ 인간중심치료에 의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 제한되어 있다.

⑤ 유교적인 가치체제가 주류를 이루는 한국적인 풍토에서는 비지시적인 방법이 정착되기가 쉽지 않다.

 

 

 

 

 

'psyc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 상담의 이론과 실제  (0) 2020.03.14
놀이치료(play therapy)의 중요성  (0) 2020.03.09
엘리스의 A-B-C 모델  (0) 2020.03.09
교류분석이론(transactional analysis)  (2) 2020.03.09
합리적-정서적 행동치료 기법  (0) 2020.03.08

관련글 더보기